본문 바로가기
주식, 경제

달러 투자를 시작해야 하는 시기는?

by Carrotpark 2021. 10. 5.

[나는 주식 대신 달러를 산다] 라는 책을 읽고 달러 투자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는 달러 투자를 시작해야하는 최적의 시기를 제 나름대로 정리해서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먼저 투자시기에 고려해야할 사항을 살펴보고, 언제 투자를 시작해야 하는지도 알아보겠습니다. 

 

달러를 투자하기전에 고려해야 할 사항은?

 

1. 원/달러 환율

 

원화의 가치 또는 달러의 가치에 따라서 1달러가 원화로 얼마인지는 하루에도 몇 번씩 계속 바뀌고 있습니다. 하지만 환율이 아무리 하락해도 1990년대의 700원 이하로는 떨어지지 않을 것이며, IMF 시절의 1,700원 이상으로는 오르지 않을 것입니다. 

 

환율이 아무리 오르거나 떨어져도 700원~ 1,700원의 박스권 안에서 움직일 것으로 본다면 그 안에서 사고 팔면서 이익을 얻고 그 밖을 크게 벗어나서 큰 손실을 볼 일은 없는 것입니다. 

 

우리가 비트코인이나 주식투자를 할 때는 상한가나 하한가가 없기 때문에 손실을 본다면 어마어마하게 손실이 생길 수도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달러 투자는 어느 이상의 손실이 생기기는 힘듭니다. 

 

2. 미국달러지수 

 

달러 투자 시 고려해야 하는 또 한 가지는 미국 달러지수입니다. 원/달러 환율이 하락한다고 해도 그게 꼭 원화의 가치가 올라간 게 아니라 그와 별개로 달러 자체의 가치가 하락한 것일 수도 있으므로 이를 구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미국 달러지수는 1973년 3월을 기준 100으로 하여 세계 주요 6개국의 통화와 미국 달러의 평균 가치를 비율로 산정해 지수 화한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에서 작성하고 발표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주요 6개국은 유럽의 유로화 57.6%, 일본의 엔화 13.6%, 영국의 파운드 11.9%, 캐나다의 달러 9.1%, 스웨덴의 크로나 4.2%, 스위스의 프랑 3.6%입니다. 

 

유로화가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크게 본다면 유로화의 가치가 상승하면 미국 달러의 지수가 하락하는 구조입니다. 

 

달러에 투자하는것은 미국의 경제발전에 투자하는 것이고, 미국 달러의 약세에 베팅한다는 것은 곧 유럽의 경제 발전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달러 투자를 시작해야 하는 시기는 언제일까? 

 

1. 달러 투자를 시작해도 좋은 상황 4가지는?

 

1) 현재의 원/달러 환율이 52주 평균 환율보다 낮을 때

 

2) 현재의 달러 지수가 52주 평균 달러 지수보다 낮을 때

 

3) 현재의 달러 갭 비율이 52주 평균 달러 갭 비율보다 높을 때

 

4) 현재의 원/달러 환율이 적정 환율보다 낮을 때

 

52주는 다른말로 최근 일 년 동안을 기준으로 투자 여부를 결정한다는 뜻입니다.

 

1)의 경우, 최근 52주 동안 최고 환율과 최저환율의 평균값보다 현재의 환율이 낮을 때를 의미하며, 2)의 경우, 52주 최고 달러지수와 최저 달러지수의 평균값보다 현재의 달러지수가 낮을 때, 3)의 경우 원/달러 환율과 미국 달러지수의 갭을 비교해 봤을 때, 그 갭이 52주 평균보다 현재 더 차이가 많이 날 때를 의미하고, 4)의 경우, 3의 갭 비율을 적용해 봤을 때 나오는 적정환율보다 현재의 환율이 낮을 때를 의미합니다. 

 

2. 지금 투자를 시작해도 좋을까?

 

그렇다면 52주 최고 환율, 최저환율, 그리고 최고달러지수, 최저 달러지수는 어디서 확인할 수 있을까요? 

인베스팅 닷컴에서 현재 환율 및 52주간의 환율을 간편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먼저 원/달러 환율을 확인해봅시다.

 

위 화면 기준으로는 52주간 최저는 1,080.02원, 최고는 1,192.42원이므로 평균은 1,136.22원으로 현재 환율인 1,180.61원은 투자하기에는 너무 높은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달러지수로 봤을 때 투자할만한지도 확인해보겠습니다. 

달러지수도 마찬가지로 인베스팅 닷컴에서 현재 지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 화면 기준으로 52주간 달러지수의 최저값은 89.165이고 최고값은 94.52이므로 평균값을 계산해보면 91.84이며 현재 달러 지수인 94.09는 평균보다 높은 상태이므로 역시 투자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3) 이번에는 3번째 항목인 갭 비율을 살펴보겠습니다. 

 

52주 평균 원/달러 환율은 1,136.22원, 달러지수는 91.84입니다. 91.84 / 1,136.22 x 100을 해보면 갭 비율이 8.08이 나옵니다. 

 

현재 환율은 1,180.61, 현재 달러지수는 94.09이므로, 현재 갭 비율은 94.09 / 1,180.61 x 100을 해보면 7.97 이 나옵니다. 

 

평균 갭 비율보다 현재 갭비율이 적은 상태이므로 역시 투자하기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4) 적정환율과 비교해보겠습니다 .

 

현재 달러지수와 평균 갭 비율에 따라 계산해봤을 때, 현재 적정환율은 1,163.77원입니다. 현재 환율은 1,180.61원으로 적정환율보다 높은 상태이므로 투자하기에 적절하지 않습니다. 

 

3. 언제 투자를 시작해야 할까? 

 

위에서 계산해본 바에 따르면 적어도 환율이 1,164원 이하로 떨어졌을 때 투자를 시작하는 게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하루에도 환율은 계속해서 바뀌고 있으므로 적정환율은 조금씩 달라집니다. 그러므로 투자하기 전 다시 한번 적정환율을 계산해보는 게 안전할 것 같습니다. 

 


위에서 알아본 내용은 시작을 해도 좋을지 여부입니다. 환율이 어떻게 변할지는 그 누구도 확실히 알 수 없습니다. 안전한 투자를 위해서 저자는 세븐 스플릿 투자라는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다른 말로 분할매수/분할매도 시스템입니다. 오늘 알아본 대로 투자를 시작해도 좋은 때라고 판단이 되면 분할매수의 첫 번째 매수를 해도 좋다는 의미입니다. 

 

다음에는 세븐 스플릿 투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모두 성공하는 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